
24 Oct 전공: 바이오켐(생화학)
생화학(바이오케미스트리, biochemistry)이라는 전공은 생명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연구하여 알려지지 않은 것들을 규명하고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모든 생명과학 영역의 기본적인 공부입니다. 생화학을 공부하여 여러 직종에서 기능을 할 수 있지만, 무엇보다도 생명의 근본이 되는 DNA나 단백질 등의 유기체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질병 연구 및 신약 발굴 등 인류 발전에도 일조할 수 있습니다.
생화학을 전공하면 다음과 같은 전문적인 기술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.
▶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처음의 가설을 발전시키는 능력
▶ 유기체와 그들의 서식지에 대한 지식
▶ 과학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석하는 경험
▶ 복잡한 과학적/기술적 정보를 설득력 있게 표현하는 능력
▶ 과학적 방법과 기기를 사용하는 경험
▶ 복잡한 생명과학과, 건강, 보전 등의 복잡한 이슈에 관하여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능력
▶ 과학적 지식을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용시키는 능력
▶ 임상적 정보로 얻어진 물질과, 액체, 가스 등을 분석하고 실험하는 경험
일할 수 있는 분야
▶ 농업 (Agriculture)
▶ 해양과학 (Aquatic / Marine Science)
▶ 생명공학 (Biotechnology)
▶ 환경과학 (Environmental Science)
▶ 과학수사 (Forensic Science)
▶ 의학 (Medicine)
▶ 연구 (Research)
▶ 독성학 (Toxicology)
▶ 과학저널리즘 (Scientific Journalism)
일할 수 있는 곳
▶ 병원 (Hospitals)
▶ 의료센터 (Medical Centers)
▶ 생명공학 산업 (Biotechnology industry)
▶ 제약/화학 회사 (Pharmaceutical and chemical companies)
▶ (교과서, 잡지, 신문)출판사 (Publishers)
▶ 소프트웨어 회사 (Software firms)
▶ 관리기관 (Regulatory agencies)
▶ Search firms
▶ 법률회사 (Law firms)
▶ 기업의 법무부서 (Legal departments of corporations)
▶ 개업 (Private practice)
학사학위 소지자
▶ 양조연구원 (Assistant Enologist)
▶ 생물분석자 (Bioanalyst)
▶ 임상자료 처리사(Clinical Data Processor)
▶ 연구소 기술자 (Laboratory Technician)
▶ 제약 영업당담자 (Pharmaceutical Sales Representative)
▶ 품질관리 기술자 (Quality Control Technician)
▶ 연구원 (Research Technician)
석/박사학위 소지자
▶ 화학안전 엔지니어 (Chemical Safety Engineer)
▶ 수석과학관 (Chief Scientist)
▶ 임상화학자 (Clinical Chemist)
▶ 유전학자 (Geneticist)
▶ 미생물학자 (Microbiologist)
▶ 약학 연구원 (Pharmaceutical Researcher)
▶ 생물학자/화학자 (Research Biologist / Chemist)
**이 글의 저작권은 제타에듀컨설팅에 있습니다. 제타에듀컨설팅의 허락 없이 복사, 인용, 발췌함을 금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