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24 Jun 4.0 성적시스템과 다른 GPA 환산법
GPA는 Grade Point Average의 약자로 수강과목들에서 평균적으로 얼마나 잘, 또는 얼마나 높게 점수를 받았는지를 알려주는 숫자입니다. 지원자의 학업적 능력과 더불어 성실성과 책임감을 함께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대학 입학사정에서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입니다.
자신의 학교는 4.0 스케일로 성적을 산출하지 않아서 대학 지원 시 괜찮을지 걱정하는 학생들이 있습니다. 미국대학은 매년 전세계에서 지원하는 학생들의 다양한 점수체계(100점 만점, letter grade, IB나 A level 등)를 보이는 성적표를 받는다는 사실을 상기하면 그럴 필요가 없음을 알 것입니다.
대학은 일단 성적표를 받으면 자기네 방식으로 환산합니다. 아래와 같은 GPA 환산법이 일반적입니다.
Letter Grade | Percentile | Regular | Honors | AP |
A+ | 97-100 | 4.0 | 4.5 | 5.0 |
A | 93-96 | 4.0 | 4.5 | 5.0 |
A- | 90-92 | 3.7 | 4.2 | 4.7 |
B+ | 87-89 | 3.3 | 3.8 | 4.3 |
B | 83-86 | 3.0 | 3.5 | 4.0 |
B- | 80-82 | 2.7 | 3.2 | 3.7 |
C+ | 77-79 | 2.3 | 2.8 | 3.3 |
C | 73-76 | 2.0 | 2.5 | 3.0 |
C- | 70-72 | 1.7 | 2.2 | 2.7 |
D+ | 67-69 | 1.3 | 1.8 | 2.3 |
D | 65-66 | 1.0 | 1.5 | 2.0 |
F | 65 이하 | 0.0 | 0.0 | 0.0 |
grade deflation이 있는 특수한 고등학교 환경에 있는 학생들은 또 걱정을 하게 됩니다. 그러나 성적표 아래에는 4.0 쳬계에 해당하는 환산범위가 적혀있거나 카운슬러가 보내는 리포트에 명시되니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.
제타에듀컨설팅은 학교마다 다른 성적시스템이나 Unweighted GPA, weighted GPA 등에 대한 글을 몇 차례 적은 적이 있습니다. 따라서 이에 대해 궁금한 학생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기 바랍니다.
https://blog.naver.com/zetaedu1/220787636429
https://blog.naver.com/zetaedu1/221520955009
https://blog.naver.com/zetaedu1/221314506842
https://blog.naver.com/zetaedu1/221555746333
**이 글의 저작권은 제타에듀컨설팅에 있습니다. 제타에듀컨설팅의 허락 없이 복사, 인용, 발췌함을 금합니다.